top of page

[지식정보] 첨단산업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 추진 전략 방향

  • 작성자 사진: 관리자
    관리자
  • 2023년 8월 8일
  • 4분 분량

정부는 2023.06.01.에 관계부처합동으로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방안 - 바이오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를 발표하였다.

클러스터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및 지원기관(정부·지자체 등)이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기술을 창출하는 결집체다. 클러스터는 기업 성장, 국가 산업발전,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의 제조·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기술혁신기업을 인큐베이팅할 수 있는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필요하다.

국내 클러스터는 현재 ①운영 중인 클러스터 유형 60여개: 산업단지, 연구개발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소부장 특화단지 등이 있고, ②입법·도입 추진 중 유형 11개 등 총 70여개 이상 유형 존재: 기회발전특구, 글로벌 혁신 특구, 교육자유특구, 해양레저특구 등이 있다. 그동안의 국내 클러스터 정책을 평가하면, ➊클러스터 고도화 노력 미흡, ➋유사기업·기관간 단순 외형 집적, ➌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연결 부족 및 ➍지역 내 우수인력 확보 애로 등 클러스터 내 구성원 간 교류‧협력이 활발한 자생적 생태계 구축이 미흡하다.

현 정부는 혁신역량 기반 클러스터*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패키지를 집중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하는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정부 발표내용은 추진 배경, 현 상황 진단, 추진 전략, 글로벌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바이오 분야 클러스터 육성‧활성화 방안, 향후 추진계획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번 델코지식정보에는 추진 배경, 현 상황 진단, 추진 전략 등을 정리한다. 글로벌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바이오 분야 클러스터 육성‧활성화 방안, 향후 추진계획 등은 2회에 걸쳐 나눠서 정리한다.

자료: 관계부처합동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방안 - 바이오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2023. 6. 1

델코지식정보

https://www.delco.co.kr/



Ⅰ. 추진 배경

클러스터는 기업, 대학, 연구기관 및 지원기관(정부·지자체 등)이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기술을 창출하는 결집체

ㅇ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상호 네트워킹을 통해 연구·혁신 활동과 창업·생산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

ree

클러스터는 기업 성장, 국가 산업발전,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의 구심점 역할 ㅇ클러스터 입주 기업은 경제·산업적(생산·수출), 사회적(고용) 및 기술적 측면(R&D 투자)에서 성장 효과가 뚜렷 ① 국내 산업단지의 경제·산업·사회·기술적 효과(‘15, 한국산업단지공단) : 생산(매출) 2배↑, 수출액 1.7배↑, 고용 1.6배↑, 특허출원 연평균 12.5%↑ ②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는 VC로부터 총 100억불 규모 투자 유치(’22년 기준) ㅇ OECD*는 클러스터가 전문인력 집약, 첨단 지식자본 형성, 글로벌 경쟁 등을 통해 지역발전을 유도한다고 강조 * Cluster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OECD, 2019) ⇨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의 제조·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기술혁신기업을 인큐베이팅할 수 있는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필요

Ⅱ. 현 상황 진단 1. 국내 클러스터 및 정책 현황 (클러스터 현황) 현재 ①운영 중인 클러스터 유형 60여개: 산업단지, 연구개발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소부장 특화단지 등 ②입법·도입 추진 중 유형 11개 등 총 70여개 이상 유형 존재: 기회발전특구, 글로벌 혁신 특구, 교육자유특구, 해양레저특구 등 ㅇ (산업단지)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은 산업 집적을 위해 계획적으로 개발‧조성 ㅇ (특정산업) 연구개발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소부장 특화단지, 농촌융복합산업지구 등은 특정 산업을 중심으로 지정 ㅇ (특수지역) 국가물산업클러스터(대구), 국가식품클러스터(익산), 국제자유도시(제주) 등은 개별 지역에 대해 지정 (정책 현황) 산업발전, 수출 활성화 및 지역 혁신 촉진 등의 목적으로 ’00년 이후 정부 주도의 클러스터 조성 추진 중 ㅇ (중앙) 산업단지(‘62~), 연구개발특구(‘05~), 첨단의료복합단지(’05~), 국가식품클러스터(‘09~) 등을 중앙정부 주도로 조성 ㅇ (지자체) 판교 테크노밸리(‘05~), 서울 상암(’97~)·마곡(‘05~) 등 클러스터는 신도시 자족기능 확충을 위해 지자체 주도로 조성 ㅇ (민간) 서울 테헤란밸리, 성수 소셜벤처 밸리 등 접근성이 높은 도심을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자생적 클러스터 형성 ㅇ (신규) 최근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바이오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조성 추진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개요 및 성공 요인 (개요) 지역 소재 명문대(MIT, 하버드)를 중심으로 연구소, 병원, 1,000개 이상의 기업 등이 군집한 세계적 바이오 단지* * 유전‧생명공학 전문지(GEN) 선정 ‘세계 바이오 클러스터 1위’ 지속 유지(‘16년~) ㅇ 특히, 바이오 혁신기업·연구기관이 밀집한 켄달스퀘어는 ’지구상 가장 혁신적인 1 스퀘어 마일*‘로 불림 * 모더나, 화이자 등을 포함한 1,000여개 이상의 바이오 기업 및 VC 소재, 대학·병원·창업공간·커피숍·음식점·공원 등이 담장이 없는 타운 형태로 조성 (성공요인) 연구기관, 병원, 기업, 지원기관, AC‧VC 등 집적 + 인력‧자본 매칭 → 혁신기술 아이디어가 사업화로 연결 ➊ 글로벌 바이오 기업·연구소·창업보육기관 등이 집적하여 참여주체 간 정보교류‧협업 등 시너지 창출 ▪ LabCentral, CIC 등 민간창업보육기관 주도로 대학·연구기관의 잠재력 높은 아이디어 및 연구자산을 연결·개방


ree

➋ 풍부한 VC 자금 및 IPO‧M&A 등 투자 회수시장 활성화 → 공정한 성과보상에 기초한 벤처투자 생태계 정착

▪ 혁신기술에 대한 자유로운 자본투자 및 정당한 수익배분, 창업가와 투자자를 모두 보호하는 신뢰 기반 시스템


ree

➌ 스타트업‧앵커기업·AC·VC‧사업서비스기업(법률·회계 등) 간 활발한 네트워킹 → 스타트업의 성장‧스케일업* 촉진 * 오픈 이노베이션, 창업보육, 스케일업 자금 지원, 경영안정 지원 등 ➍ 보스턴 소재 바이오 기업‧연구기관 등에 대한 매사추세츠 주정부의 지속적인 대규모 조세특례·자금융자 지원* * Life Sciences Initiative(’08.6) : 10년간 총 10억불 세제·자금지원 → 同 법안 기간 연장 및 5년간 5억불 추가 지원 결정(‘18.6) ➎ MIT, 하버드 등 글로벌 우수 대학이 경쟁력 있는 첨단기술인력* 지속 공급 → 적합한 인재 구인에 용이한 환경 조성 * 약 10만 명 보스턴 바이오 분야 종사 중 R&D 인력이 약 5.5만명 2. 그동안의 클러스터 정책 평가 ◇ ➊클러스터 고도화 노력 미흡, ➋유사기업·기관간 단순 외형 집적, ➌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연결 부족 및 ➍지역 내 우수인력 확보 애로 → 클러스터 내 구성원 간 교류‧협력이 활발한 자생적 생태계 구축 미흡 ➊클러스터 생태계 구축 등 고도화 노력 미흡 ㅇ 자생적 생태계*가 구축된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부처별·분야별로 운영됨에 따라 산·학·연 연계 등 생태계 조성 미흡 * (예)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 : 산‧학‧연‧병의 자생적‧물리적 집적 + 선순환 벤처투자 생태계 정착 + 주정부의 세제‧금융 지원 ㅇ 특히, 중앙정부는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는 입지 규제 등을 유지, 지자체는 클러스터 고도화를 위한 자발적 개선 노력‧의지 부족 ➋클러스터 입주기관 간 단순 집적 및 네트워크 부족 ㅇ 클러스터 내 구역을 업종별‧기능별로 분리*하여 산‧학‧연 및 사업지원서비스(법률‧회계‧금융 등) 등 다양한 주체 간 네트워킹 부족 * (예) 공장, 연구소 등 제조업 위주 정책으로 클러스터 핵심 입주 용지(산업시설용지 등)에 법률·회계·금융 등 사업지원서비스 입주 불가 ㅇ 기업‧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공공 창업보육기관은 공급자 중심으로 지원프로그램 운영 ▪ 공공 주도 네트워킹 프로그램은 입주기업의 수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해 참여 주체 간 자발적 교류·협력 유도 미흡 ➌연구개발 성과 활용 미흡 및 벤처 육성 생태계 빈약 ㅇ R&D 성과를 사업화로 연결시키는 산‧학‧연 협력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글로벌 협력도 부족 ㅇ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을 선별하여 스케일업까지 지원하는 AC‧VC 기능이 부족하고, M&A 등 벤처투자 회수시장 활성화 미흡 ➍클러스터 내 자생적 우수인력 공급 생태계 미흡 ㅇ 기업 또는 공공지원기관 중심으로 집적하여 우수인력을 지속 공급해 줄 수 있는 우수대학‧연구소 등 부족 ㅇ 젊은 우수 인재의 지역근무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주거‧문화시설 확충 등 지자체의 정주여건 개선 노력 미흡


Ⅲ. 추진 전략 ◇ 혁신역량 기반 클러스터*에 대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패키지를 집중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조성 *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관련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개발특구,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ree

댓글


라이브러리 목록

델코 지식정보 구독하기

델코가 엄선한 국내외 도시·부동산 트렌드를 이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세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