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칼럼] 인구 줄어든 농촌, '숙박공유'가 도시재생 이끈다

StartFragment

Let"s Master (5) 부동산의 사회·경제학 체류형 관광객 모아 문화체험 한국 정부, 관련법 정비 시급

공유경제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서로 공유하는 활동을 말한다. 공유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성장했다. 저성장, 취업난, 가계소득 감소 등 경제 문제가 발생하자 이를 개선하고자 과소비를 줄이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부각하면서 공유경제가 생겨났다. 여기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등 정보기술(IT) 발전으로 개인 간 거래(P2P)가 편해지면서 활성화됐다. 공유경제를 적용하는 분야는 에너지, 부동산, 차량, 일반자산, 농업, 금융, 음식, 여행, 노동, 거버넌스,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디지털 관리 등이다. 글로벌 차원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플랫폼은 에너지, 서비스, 교통, 공간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에너지 분야 플랫폼 선두는 솔라시티, 파클로, 반더브론 등이다. 숙박에 에어비앤비, 차량공유 쏘카, 승차공유 우버, 사무실 분야엔 위워크 등이 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자료에 의하면 세계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달러에서 2025년 3350억달러로 증가한다고 한다. 2015년 미국 공유경제 중에서 가장 큰 분야는 주택 설치 태양에너지로, 대표 플랫폼은 솔라시티(매출 10억달러)다. 그 다음은 택시 서비스 분야로 우버(49억달러), 숙박 분야에서 에어비앤비(7억9500만달러), 금융 분야는 렌딩클럽(3억9000만달러) 등이 있다. 앞으로도 가장 큰 공유시장은 에너지다. 일반 주택에서 태양 패널을 이용해 생산한 에너지 중 남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해 공유하는 사업이다. 전기차회사인 테슬라가 자회사 솔라시티를 통해 미국 모든 주택으로 에너지 공유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 미래 가장 큰 공유시장은 에너지 중국의 공유경제 발전 속도가 범상치 않다. 중국 국가정보센터에 따르면 중국은 공유경제가 매년 40%씩 성장해 2020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10%, 2025년에는 20%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공유경제 법규 마련도 올해 말까지 마무리한다. 중국 공유 플랫폼은 중국인 해외 관광 증가와 함께 급속히 세계화되고 있다. 2016년 중국인 해외 관광객은 약 1억2200만 명으로, 이 중 밀레니얼 세대가 3분의 2를 차지한다. 이들 세대는 경제적 여유, 스마트폰 사용, 영어 사용, 개별 여행 선호 경향을 띤다. 이들은 알리바바 모바일 결제 수단인 알리페이나 위챗페이를 사용한다. 이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나라가 일본이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해외 관광객은 2000만 명이고, 2030년에는 600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중국인이다. 일본의 큰 택시회사들은 유커(중국인 관광객)를 끌어들이기 위해 중국 차량호출 서비스인 디디추싱 앱(응용프로그램)을 앞다퉈 활용하고 있다. 숙박도 마찬가지다. 일본 시골마을까지 중국 숙박공유 플랫폼 투자왕(途家網) 앱이 깔려 있다. 중국의 양대 자전거 공유업체인 모바이크와 오포는 이미 일본 자전거 공유시장을 장악했다. 30개 국가, 가맹점 1000만 개가 유커를 끌어들이기 위해 알리페이 결제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공유경제는 사용 비용과 자원 소비를 줄인다. 지역사회 소통도 강화한다. 새로운 소비 자극과 혁신적 기업가 정신이 향상되면서 경제도 발전한다. 공유경제에 부정적 의견도 있다. 글로벌 공유경제 플랫폼은 기존 업체를 단순히 대신하는 신규 기득권층이란 주장이다. 이들이 플랫폼 참여자들의 혜택을 수수료 명목으로 많이 가져가면서 사회적 불평등을 줄인다는 당초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세금 정책으로 어느 정도 해소가 가능하다. 숙박공유는 관광형 도시재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에서도 문화체험을 하는 체류형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기회가 된다. 저비용 여행이 가능해지면서 관광객 증가에도 기여한다. 방랑이란 의미의 회사인 롬(Roam)은 여행 숙박 체험을 한 번에 하는 공유 개념을 제공하고 있다. 한 달에 1800달러를 지급하면 세계 여러 도시의 숙소에서 한두 달씩 머물며 현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 법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확산되고 있다. # 우리나라 공유경제 법체제 미비

한국 공유주택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최근 3~4년 새 급성장하고 있다. 대부분 6~7명이 한 집을 공유하는 소규모 공유주택 개념으로 1인 가구가 겪는 주거 불평등과 외로움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비중은 2035년까지 35%나 될 것으로 보여 공유주택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유경제 품 안에서 기존의 가족 관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체 문화와 삶의 방식이 큰 주류로 자리 잡는 것이다. 공유주택은 도시 한복판에서 소유가 아니라 공유를 통해 문화와 소통의 수단이 되고 있다.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5000실에서 2020년 1만 실이 될 전망이다. 국내 전문 플랫폼으로는 우주, 단비, 컴앤스테이 등이 있고 올 들어 대기업 참여도 늘고 있다. 최근에는 주거, 오피스, 차량공유 플랫폼이 협업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유주택과 공유오피스가 한 건물에 공존하는 직주일체형으로 변하고 있다. 출퇴근 시간이 없어지면서 일과 레저를 더 즐길 수 있게 된다. 한국 차량공유 사업은 택시업계 반대로 어려움이 많다. 서울시는 카풀 공유회사 풀러스와 럭시를 불법으로 보고 있다. 이들이 앞에서 뭇매를 맞고 있는 가운데 우버는 조용히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 공유경제 관련 법 정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늦기만 하다. 기존 산업계 반대와 정부 관련 부처의 이해 부족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내년에야 공유경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공유민박업을 허용하는 규제프리존특별법도 정부와 국회 내에서 찬반의견이 팽팽하다. 공유경제로 도시 부동산은 묶음 현상이 늘고 있다. 그 예로 부동산 소유의 공유 개념인 리츠가 있다. 부동산 사용자의 편익을 중시하는 서비스 현상도 강화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보면 공유경제가 공공영역으로 확산되면서 도시와 플랫폼의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와 자율주행 개념의 차량공유는 도시 인프라 차원에서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보인다. 공유경제는 이미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되는 큰 흐름이다. 우리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중국의 플랫폼에 당할 수 있다.

[한경 BIZ School] 인구 줄어든 농촌, '숙박공유'가 도시재생 이끈다 최민성 < 델코리얼티그룹 대표 >

 

EndFragment

본 칼럼은 2017년 12월 07일 '한국경제'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라이브러리 목록

델코 지식정보 구독하기

델코가 엄선한 국내외 도시·부동산 트렌드를 이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세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