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22년 상반기 유통업태 매출
'22년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8.4%) 부문과 온라인(10.3%)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9.3% 증가하였다. 오프라인은 ‘21년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백화점(18.4%)을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하였다. 온라인은 온라인을 통한 화장품구매, 장보기 등 온라인ㆍ비대면 소비 문화의 확산이 이어져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하였다(산업통상자원부). 해외여행에 대한 제약이 지속되면서 유명브랜드(0.8%p)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온라인을 통한 음식 배달ㆍe-쿠폰 사용 등이 늘어 서비스/기타(0.6%p) 상품군의 비중도 증가했다. ’21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매출이 늘었던 가전/문화(△0.9%p), 생활/가정(△0.5%p) 등 다른 상품군의 비중은 감소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를 보면, ’21년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거리두기 완화로 백화점(18.4%)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편의점(10.1%)의 매출도 늘어, 대형마트(△1.5%)ㆍSSM(△1.9%)의 매출 감소에도 전체 오프라인 매출은 8.4%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가정/생활(△3.7%), 가전/문화(△3.6%) 등 매출 감소로 카페 및 푸드코트 등 기타(3.7%), 의류(0.6%)의 매출 회복이 있었으나, 전체 매출(△1.5%) 소폭 감소했다. 백화점은 유명브랜드(26.9%), 아동/스포츠(26.3%), 여성의류(정장 17.1%, 캐주얼16.1%), 남성의류(19.8%) 등 전 상품군의 매출이 호조세를 이어가 전체 매출(18.4%) 크게 증가했다. 편의점은 근거리ㆍ소량구매 선호에 따라 가공‧즉석 등 식품군(10.6%)의 매출이 늘고 생활용품(11.5%)의 매출도 증가해 전체 매출(10.1%) 증가했다. 준대규모점포(SSM)은 온라인으로 구매채널이 이동한 일상용품(△4.9%)‧생활잡화(△1.1%) 등 비식품군(△3.3%)과 식품군(△1.7%) 매출이 모두 감소하여 전체 매출(△1.9%) 감소했다.
온라인 유통업체를 보면, 온라인을 통한 장보기 등의 보편화로 식품(17.8%) 분야 매출이 증가하며 전체 온라인 매출 10.3% 증가했다. 야외활동 재개에 따른 화장품(21.2%), 음식배달ㆍ공연티켓 등의 서비스/기타(17.0%)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했다.
소매판매액 중에 온라인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약 26.7%다.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7년 16.2%, 2018년 18.8%, 2019년 22.1%에서 코로나가 확산된 2020년 27.2%, 2021년 27.5%까지 급증했다가 22년 들어 약간 줄어드는 분위기다(통계청).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2년 상반기 및 6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22. 7. 28.
통계청, 2022년 4월 온라인쇼핑동향, 2022. 6. 2.
델코지식정보
https://www.delco.co.kr/
http://www.retailon.kr/on/
1. 2022년 상반기 매출 동향
1-1. 전체 매출 동향
(전체 매출) '22년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8.4%) 부문과 온라인(10.3%) 부문이 모두 성장세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9.3% 증가
ㅇ (오프라인, 8.4%) ‘21년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백화점(18.4%)을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
ㅇ (온라인, 10.3%) 온라인을 통한 화장품구매, 장보기 등 온라인ㆍ비대면 소비 문화의 확산이 이어져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
(상품군별 매출비중) 해외여행에 대한 제약이 지속되면서 유명브랜드(0.8%p)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온라인을 통한 음식 배달ㆍe-쿠폰 사용 등이 늘어 서비스/기타(0.6%p) 상품군의 비중도 증가
ㅇ ’21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매출이 늘었던 가전/문화(△0.9%p), 생활/가정(△0.5%p) 등 다른 상품군의 비중은 감소
1-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21년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거리두기 완화로 백화점(18.4%)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편의점(10.1%)의 매출도 늘어, 대형마트(△1.5%)ㆍSSM(△1.9%)의 매출 감소에도 전체 오프라인 매출은 8.4% 증가
ㅇ (대형마트) 가정/생활(△3.7%), 가전/문화(△3.6%) 등 매출 감소로 카페 및 푸드코트 등 기타(3.7%), 의류(0.6%)의 매출 회복이 있었으나, 전체 매출(△1.5%) 소폭 감소
ㅇ (백화점) 유명브랜드(26.9%), 아동/스포츠(26.3%), 여성의류(정장 17.1%, 캐주얼16.1%), 남성의류(19.8%) 등 전 상품군의 매출이 호조세를 이어가 전체 매출(18.4%) 크게 증가
ㅇ (편의점) 근거리ㆍ소량구매 선호에 따라 가공‧즉석 등 식품군(10.6%)의 매출이 늘고 생활용품(11.5%)의 매출도 증가해 전체 매출(10.1%) 증가
ㅇ (준대규모점포(SSM)) 온라인으로 구매채널이 이동한 일상용품(△4.9%)‧생활잡화(△1.1%) 등 비식품군(△3.3%)과 식품군(△1.7%) 매출이 모두 감소하여 전체 매출(△1.9%) 감소
온라인 유통업체
온라인을 통한 장보기 등의 보편화로 식품(17.8%) 분야 매출이 증가하며 전체 온라인 매출 10.3% 증가
ㅇ 야외활동 재개에 따른 화장품(21.2%), 음식배달ㆍ공연티켓 등의 서비스/기타(17.0%)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
2. 2022년 6월 매출 동향 [월간]
2-1. 전체 매출 동향
(전체 매출) 오프라인 부문(9.3%)과 온라인 부문(9.1%)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9.2% 상승
ㅇ (오프라인) 거리두기 완화 등 야외활동 증가와 보복소비 영향으로 아동/스포츠(24.1%)를 비롯, 모든 품목에서 매출 상승
ㅇ (온라인) 실외활동과 모임 증가로 화장품・식품 등 온라인 구매와 서비스(공연·레저 상품 예약) 수요가 지속되며 전 품목에서 매출 상승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 규모(조원) :
(‘22.4월) 7.01 / 6.59 ⇒ (‘22.5월) 7.48 / 6.97 ⇒ (’22.6월) 7.08 / 6.50
(상품군별 매출) 해외유명브랜드(19.6%), 패션/잡화(11.7%), 서비스/기타(10.8%), 아동/스포츠(9.2%) 등 전체 상품군 매출 상승 ㅇ (오프라인) 아동/스포츠(24.1%), 해외유명브랜드(19.6%)와 패션/잡화(13.9%) 분야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체 상품군에서 매출 상승
ㅇ (온라인) 식품(17.9%), 서비스/기타(13.6%), 패션/잡화(9.6%) 등 판매호조세가 이어지면서 전체 상품군에서 매출 상승
(구매건수ㆍ구매단가) 백화점·편의점 방문객 증가, 대형마트·SSM 방문객 감소 추세가 지속(`22.4월~6월), 전체 구매건수(4.3%) 증가와 함께 농·축산물 등 물가상승 영향으로 전체 구매단가(4.7%)도 증가
(업태별 매출 비중) 전년 동월 대비 오프라인·온라인 매출 비중은 유사
ㅇ 오프라인 업태 중 백화점(1.4%p)의 매출 비중은 늘고, 대형마트(△0.9%p)·SSM(△0.3%p)은 감소, 편의점은 변동 없음
2-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대형마트(2.3%)ㆍ백화점(18.2%)ㆍ편의점(8.6%)의 매출은 증가하고, SSM(△2.2%)의 매출은 감소하였으며 전체 매출은 9.3% 증가
ㅇ (대형마트)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야외활동 증가 등으로 의류(5.3%), 잡화(2.3%) 등 전 품목에서 소폭 성장하면서 전체 매출은 2.3% 증가
ㅇ (백화점) 방문객수 증가(구매건수 9.8%) 추세가 지속되었고, 전 품목에서 판매호조(아동/스포츠 27.4%, 남성의류 18.7%, 여성정장 17.8% 등)를 보이며 전체 매출은 18.2% 증가
ㅇ (편의점) 정상 등교·근무 등으로 이용객수가 늘며, 생활용품(19.9%), 잡화(11.6%), 가공식품(10.0%) 등 전 품목 판매호조로 전체 매출 8.6% 증가
ㅇ (준대규모점포) 가공식품(3.6%)을 제외한 일상용품(△6.9%), 농·수축산(△5.1%) 등 대부분 품목의 판매 부진으로 전체 매출은 2.2% 감소
(점포당 매출) 점포수는 대형마트·SSM은 감소, 백화점·편의점은 증가하였으며, 점포당 매출은 SSM을 제외한 대부분 업태에서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9.1% 증가하였으며, 도서/문구(△2.3%), 스포츠(△0.5%)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상승
ㅇ 모임·실외활동 증가에 따른 화장품(18.1%) 및 가공식품·식음료 등 식품(17.9%) 수요증가, 여행·공연 예약상품 등 서비스/기타(13.6%) 품목의 판매호조 지속
3. 22.4월 기준 온라인 쇼핑동향
(총 거래액) 16조 4,571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9%(1조 7,561억원) 증가
◦ (상품군별) 여행 및 교통서비스(89.8%)*, 음식료품**(16.6%), 의복*(19.4%), 음식서비스**(5.7%) 등이 늘어 11.9% 증가.
- 상품군 구성비는 음 식료품(13.7%, 2조 2,536억), 음식서비스(12.7%, 2조 892억), 가전 전자 통신기기(10.0%, 1조 6,396억), 의복(9.9%, 1조 6,305억) 순으로 높음
* 방역조치 완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 영향
**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으로 온라인 장보기, 배달서비스 지속 증가
◦ (취급상품범위별) 종합몰의 거래액은 10조 7,012억원, 전문몰의 거래액은 5조 7,558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7.8%, 20.5% 각각 증가
◦ (운영형태별) 온라인몰의 거래액은 12조 5,567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2.6% 증가하고, 온․오프라인병행몰의 거래액은 3조 9,003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9.8% 증가
(모바일) 12조 2,831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5.7%(1조 6,693억원) 증가
◦ 총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비중*은 74.6%로 전년동월대비 2.4%p 상승
* 음식서비스(97.8%), 이쿠폰서비스(88.6%), 애완용품(84.7%), 아동 유아용품(82.2%) 순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소매판매액 중에 온라인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약 26.7%다.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7년 16.2%, 2018년 18.8%, 2019년 22.1%에서 코로나가 확산된 2020년 27.2%, 2021년 27.5%까지 급증했다가 22년 들어 약간 줄어드는 분위기다(통계청).
*온라인 유통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