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탄소중립과 경제 영향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추진 현황 및 경제적 영향’ 자료를 정리하였다.
(검토 배경) 지구온난화 현상이 심화 되고 자연재해 빈도도 늘어나면서 기후변화의 위험성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
ㅇ 파리협정 기반 신기후체제가 2021년부터 공식출범한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의 파리협정 복귀 선언,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 등이 이어지며 국제사회의 대응도 빨라지는 모습. 이에 국제사회의 탄소중립정책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정책이 향후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함
(주요 정책추진 현황) 탄소중립 관련 정책은 시장가격 메커니즘 활용 여부에 따라 크게 시장기반 정책과 비시장기반 정책으로 구분
①시장기반 정책
ㅇ 탄소배출권거래제: 탄소배출권 시장은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되는 가운데, 최근 빠른 성장세 시현. 중국이 21년부터 전국 규모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를 도입하고, 독일 역시 21년부터 난방 및 수송부문에 대해서도 배출권거래제를 도입
ㅇ 탄소세: 탄소세는 현재 25개국에서 실시 중이며, 국제기구와 학계를 중심으로 도입 확대 필요성이 제기
ㅇ 탄소국경조정세: EU에서 2023년 도입할 예정이며 최근 미국도 바이든 행정부 들어 적극적으로 검토 중
②비시장기반 정책
ㅇ 직접규제: 주요국은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선박 연비규제, 친환경 건축설계 의무화 등과 같은 직접규제 정책실시
ㅇ 공공투자: 최근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은 기후변화 대응 관련 대규모 공공투자(인프라 및 R&D) 계획 잇따라 발표. 미국은 American Job Plan(3.31일)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하였으며, EU는 유럽그린딜(2019.12월) 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운송 및 건물 부문 인프라를 중심으로 향후 10년간 1조 유로 이상을 투자.
(경제적 파급영향)
ㅇ 경제성장: 탄소중립정책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여러 연구결과를 보면, 마이너스 효과와 플러스 효과 사이에서 다양한 견해가 제시. IMF는 2021~35년 중에는 녹색 인프라 투자의 경기부양 효과로 성장에 플러스로 작용하고, 그 이후에는 탄소세 부과 효과가 커지면서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ㅇ 고용: 고용유발 효과가 큰 저탄소산업이 확대되면서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그러나 산업구조 전환과정에서 생산 규모가 축소되는 업종에서는 일시적으로 실업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도 상존.
ㅇ 물가 화석연료 가격 인상에 따라 물가는 완만히 상승하겠으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높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시사점) 탄소중립 정책이 갖는 기후변화 예방 효익이 분명한 만큼, 저탄소 경제구조 전환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
ㅇ 산업구조 및 기술 수준 차이 등으로 국가별로 차별화된 경제적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기술협력 등을 통해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
ㅇ 우리나라의 경우 중화학공업 등 고탄소산업 비중이 주요국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여, 저탄소 경제구조로의 전환을 서두르는 한편 친환경 산업을 육성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필요
자료: 한국은행 해외경제 포커스 제2021-16호, 2021. 4. 30
델코지식정보
https://www.delco.co.kr/
http://www.retailon.kr/on/
* 리테일온 사이트와의 연계로 전문 보기 서비스는 리테일온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전문보기 및 자료다운로드(PDF) : 탄소중립과 경제 영향.pdf
Kommentar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