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식정보] 주유소의 미래 모습


주유소는 시장포화, 경영악화, 대체 에너지 등장 등으로 실제 숫자가 줄어들면서 변신하고 있다. 우리나라 4대 정유사 브랜드 주유소는 2010년 전국 1.3만 개였던 것이 2020년 9992개로 줄었다. 주유소는 최근에 전기차나 수소차 충전시설 보강,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커피전문점, 세차장, 경정비, 택배 취급점 기능까지 추가하고 있다. 주유소는 '가스스테이션'에서 '멀티스테이션'으로 변신하면서, 개인 창고, 택배 취급점, 모빌리티 거점, 차량 관리 센터 등 4가지 유형으로 진화 중이다. 아마존, 알리바바, 쿠팡, 네이버 등 국내외 이커머스들은 도심형 주유소를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와 마이크로 딜리버리 센터로 보고 있다.


국내 전기차 충전소도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맞춰, 충전기가 급속 200㎾, 초급속 350㎾로 최대 7배 이상 출력이 높아지고 있다. 미래형 충전 인프라인 MES(Multiple Energy Service-center)는 전기차 초급속 충전소를 넘어 태양광ㆍ풍력ㆍ연료전지ㆍ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갖춘 복합 에너지 서비스 시설로, 350㎾ 이상의 초급속 충전기의 전원을 자체 생산ㆍ조달한다. 신재생 발전소와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ESS에 저장하고 전기차 충전ㆍDR(전력수요관리) 사업으로 수익을 내는 ‘마이크로 그리드’(분산 전원)를 구축한다.


전 세계 전기차는 2016년 200만 대, 2020년 1000만 대, 2030년 1.5억~2.3억 대까지 늘어난다. 충전도 하고 전기도 생산하는 MES는 주유소의 미래이자, 분산형 에너지플랫폼으로 전기차 확산을 이끌 새로운 사업모델이다. 소규모 연료전지와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전기와 수소를 생산, 수소차와 전기차 충전에 활용하고 남은 전기는 한전에 판매하는 수익사업도 가능하다. 테슬라는 미국 내에만 300여 개 전용 충전소를 보급했고, 최대 250㎾의 고속 충전이 가능한 ‘슈퍼차저’도 38곳의 지원 예정지를 포함해 전국에 이미 120곳 넘게 문을 열었다. SK박미주유소는 ‘K-MES(한국형 멀티에너지서비스센터)’의 모델이다. 충전소 옥상에는 태양광 발전소(20.6㎾)와 연료전지(300㎾)가 있다.


문제점도 없지않다. 전기사업법상 해당 설비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접 판매할 수 없다. 350㎾ 초급속 충전기는 KS기준이 200㎾ 기준으로 한정되어 있다. 주유소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연료전지 설치가 금지다. 기존 주유 시설과 전기 충전시설을 묶어 이상전압을 방지하는 접지 설비도 어렵다. 현행법은 주유소에서 전력을 자체 생산하더라도 판매가 불가능해 외부 전력을 끌어와야 한다. 한국전력공사의 막대한 배전 공사비 부담도 문제다.

자료: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558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119447860157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71709100850567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310017280160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252437360158

https://electrek.co/2021/01/05/tesla-unveils-map-upcoming-supercharger-stations-updates-timelines/

델코지식정보

https://www.delco.co.kr/

http://www.retailon.kr/on/



1. 미래 주유소의 모습은

자료: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558

주유소는 시장포화, 경영악화, 대체 에너지 등장 등으로 변신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주유소는 생존을 위해 구조조정의 거센 풍파를 겪고 있다. 실제 주유소 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SK, GS,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 4대 정유사 브랜드 주유소는 2019년 1만140개에서 2020년 9992개로 줄었다. 2010년 기준 전국 1만3004개였던 것이 10년 사이 1만개 이하로 내려갔다.

변화의 시작은 '멀티스테이션'부터

주유소는 최근에 전기차나 수소차 충전시설을 보강하고, 여기에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커피전문점, 세차장, 경정비, 택배 취급점 기능까지 추가하였다. '가스스테이션'에서 '멀티스테이션'으로 변신하고 있다.

SK에너지는 주유소를 거점으로 하는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며, GS칼텍스는 드론 배송의 거점으로 주유소를 활용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쿠팡과 협업해 주유소 유휴 공간을 로켓배송 물류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주유소에서 공유 전기자전거의 대여, 보관, 반납 등과 충전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유소는 4가지 유형으로 진화 중

개인창고. 주유소의 남는 공간을 창고나 개인 사물함 등으로 개조해 빌려주는 서비스다. 아파트 등 주거 형태의 소형화로 수납공간이 부족하거나 철이 지난 옷, 캠핑 등 레저용품 등을 보관해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택배 취급점. 소비자가 배송할 물건을 주유소에 가져다 놓으면 택배사가 이를 수거해 배달하는 서비스다. 택배기사가 집으로 개별 방문하지 않아도 되어, 집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소비자 역시 제품을 빠르게 반품하거나 교환할 때 유용하다.

모빌리티 거점.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거점이 된다. 입지가 편리한 주유소 특성을 살려 카셰어링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중요한 접점이 될 수 있다. '수거→정비→충전→대여'로 이어지는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의 전초기지가 될 전망이다.

차량관리 센터. 연간 2.5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출장 세차와 손세차 등 세차 사업을 비롯해, 주차, 정비, 보험 등 다양한 스타트업과 제휴가 가능하다. 실제로 주요 정유사들은 다른 업종과 융합한 차량 관리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 주유소를 준비 중인 4대 정유사

SK에너지는 2020년 차량관리 통합 플랫폼 '머핀'을 개발했다. 머핀 앱에 차량 번호, 주유 패턴(유종, 주유량, 금액 등), 결제 수단을 등록해 놓으면 주유소에서 차량번호 입력만으로 주유 주문과 결제까지 한 번에 진행된다. SK에너지는 머핀을 정착시킨 후 세차·주차·발렛파킹은 물론 자동차 정비, 보험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 SK에너지는 자동차 관리에 필요한 세차, 발렛 파킹 등 전문 서비스 업체 셀세모, 갓차, 루페스, 마지막삼십분, 세차왕, 오토스테이 등 6개사와 제휴를 맺었다.

GS칼텍스는 2020년 드론과 로봇을 결합한 배송 서비스를 시연했다. GS25 편의점에서 물건을 주문하면 GS칼텍스 주유소에서 드론이 물건을 인근 지역까지 나른다. 물건을 전해 받은 자율주행 로봇이 배송을 완료하는 방식이다. GS칼텍스는 드론 제조업체 네온테크와 자율주행 전문업체 언맨드솔루션과 협업하고 있다.



에쓰오일은 공유자전거 '일레클'과 제휴해 주유소를 거점으로 공유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무인 편의점 등 복합 편의공간으로 재설정하고 있다. 공유자전거는 주유소 유휴 공간에 설치된 '일레클존'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과 정비 등 협력 사업도 확대한다. 이커머스 물류거점, 비대면 셀프세차 등을 도입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전기차 충전에 적극적이다. 현재 전국 20여 곳 충전소를 2023년까지 200개로 확대하면서, 전기차 플랫폼 확대에 치중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300만 대 이상 보급을 계획한다. 쿠팡과 협업해 주유소의 물류 배송 거점으로 모색하고 있다.


'유통공룡', 탐내는 주유소

글로벌 유통 업체들은 소비자와 최접점으로 주유소에 주목한다. 주유소회사도 환영하고 있다. 아마존, 알리바바는 물론 쿠팡과 네이버 등 국내외 이커머스들은 도심형 주유소를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와 마이크로 딜리버리 센터로 보고 있다. 쿠팡은 2년 전부터 현대오일뱅크와 로켓배송 거점으로 주유소를 실험 중이다. 네이버는 NFA(NAVER Fullfillment Allianmce)를 중심으로 전략적 투자 관계에 있는 스타트업과 함께 주유소 등 다양한 공간에서 물류 기능을 점검하고 있다.

아마존은 2019년부터 주유소 사업에 관심을 두고, 무인 편의점 '아마존고'와 무인택배사서함 '아마존 락커' 등을 오픈했다. 2021년 매장을 3000여 개로 늘린 아마존은 주유소 사업 자체만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 여기에 주유소 사업을 아마존 프라임 회원수도 늘리는 발판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마존은 확보한 수천여 개의 주유소를 통해 오프라인 배달 및 운송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마존은 인수한 자율주행자동차 스타트업 '죽스(Zoox)'를 통해 모빌리티 스테이션으로 주유소를 고려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2015년 중국석유화학 주유소 중 5000곳을 인수했다. 주유 결제를 알리페이와 연동하고 각종 'O2O(Offline to Online)' 서비스의 오프라인 거점으로 연결 중이다.


2. MES(복합에너지센터) 시장

자료: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119447860157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71709100850567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310017280160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7040252437360158

국내 전기차 충전소도 배터리 기술의 발전에 맞춰 충전시설도 ‘기술 속도전’에 진입했다. 현행 설비로는 전기차를 80% 충전하는데 아무리 빨라도 18분 이상 걸린다. 현재 국내 보급된 충전기 출력은 급속 50킬로와트(㎾), 완속 7㎾ 수준에 불과하여, 급속 충전은 80%까지 최대 30분, 완속은 5시간이 걸린다. 최근 도입하기 시작한 충전기는 급속 200㎾, 초급속 350㎾로 최대 7배 이상 출력이 높다. 하지만 영국 볼템포 사가 개발한 충전기 출력은 이미 1000㎾급에 도달했다. 국내시장도 선제적 기반 구축에 나서야 한다.


미래형 충전 인프라는 복합에너지센터 MES(Multiple Energy Service-center)라고 부른다. MES는 단순한 전기차 초급속 충전소를 넘어 태양광ㆍ풍력ㆍ연료전지ㆍ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갖춘 복합 에너지 서비스 시설이다. MES에선 350㎾ 이상의 초급속 충전기의 전원을 자체 생산ㆍ조달한다. 신재생 발전소와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ESS에 저장하고 전기차 충전ㆍDR(전력수요관리) 사업으로 수익을 내는 ‘마이크로 그리드’(분산 전원)를 구축한다.

한국전기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충전 인프라 미래시장 대응 전략 연구’에서 MES 같은 미래 충전 인프라 시장 규모가 2055년 308조 원이 넘을 것으로 전망한다. 일반 충전기 설치시장은 약 1.6조 원 규모인데, 용량 증설공사 153조 원, 분산 전원 설치 130조 원, 운영·관리 29조 원 등 부가적인 인프라 시장의 성장세가 더 크다.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대체하고 얼마나 빨리 시장을 장악하느냐도 결국 충전 인프라에 달려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6년 200만 대에 불과했던 전 세계 전기차 보급량이 2020년 1000만 대까지 증가했고, 2030년에는 1.5억~2.3억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충전도 하고 전기도 생산하는 ‘복합에너지센터(MES)’는 주유소의 미래이자, 분산형 에너지플랫폼으로 전기차 확산을 이끌 새로운 사업모델이다. 소규모 연료전지와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전기와 수소를 생산, 수소차와 전기차 충전에 활용하고 남은 전기는 한전에 판매하는 수익사업도 가능하다.



최근 한국전기산업연구원이 발간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미래시장 대응전략 연구’에 따르면, 전기차 보급 확대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충전기 보급도 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전기 보급도 확대 추세다. 충전기는 2016~2020년 급속 기준 8만 개에서 40만 개로 5배, 완속 기준 26만 개에서 92만 개로 약 3.5배 증가했다. IEA는 현재 100만 개를 밑도는 보급량이 2030년까지 1억500만~1억9000만개로 100배 이상 급속히 증가할 것이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설비용량도 670기가와트(GW)에서 1.2테라와트(TW)까지 늘어날 것으로 봤다.

산업계는 2020년 6.4만기 정도였던 전기차 충전기가 2021년 9.6만기, 2025년 52만기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350㎾급 급속 충전기의 경우 2020년 9800기에서 2025년까지 1.7만기로 두 배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전기차 충전시설이 한층 진화된 MES로 변화할 전망이다. 서울 금천구 SK박미주유소는 2022년 2월부터 국내 1호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으로, MES 모델에 가장 근접해 있다. SK에너지는 친환경 분산 발전과 친환경차 충전이 가능한 3000여개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을 전국으로 확대 구축할 계획이다.


8시간 걸린 전기트럭 충전 40분이면 80%까지 충전

전기차 운전자들의 최대 고민은 ‘충전’이다. 세계 전기차 판매 1위 테슬라는 국내에만 300여개 전용 충전소를 보급했다. 테슬라는 최대 250㎾의 출력으로 고속 충전이 가능한 ‘슈퍼차저’ 시스템도 속속 공급하고 있다. 슈퍼차저는 38곳의 지원 예정지를 포함해 전국 각지에 이미 120곳 넘게 문을 열었다.



SK박미주유소는 테슬라의 슈퍼차저에 맞설 ‘K-MES(한국형 멀티에너지서비스센터)’의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정부의 ‘하이브리드 스테이션’, GS칼텍스의 ‘통합 에너지스테이션’ 등이 있지만 MES 개념에 가장 근접했다는 평가다. 이곳의 충전기는 200㎾급 급속충전기와 350㎾급 초급속 충전기 각각 1기로 구성돼 있다. 실제로는 차량 연식에 따라 150㎾ 이하로 충전 속도가 제한되는 테슬라 슈퍼차저보다 출력이 높고 충전 속도도 더 빠르다.

충전소 옥상에는 빼곡히 들어차 있는 태양광 발전소(20.6㎾)와 연료전지(300㎾)가 있다. 연료전지만 해도 연간 2500㎿h의 전력을 생산한다. 이는 전기차가 4만3000번 충전할 수 있는 규모다.

현재 전기사업법상으로는 해당 설비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접 판매할 수 없어 인접 계통망을 통해 공급하고 있지만, 앞으로 제도개선이 이뤄지면 주요소에서 생산한 전기로 전기차에 직접 충전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특히 이 사업은 인근 지역에도 전력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보급 모델도 일부 개선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발전소가 밀집한 강원, 충남 등의 전력자립도는 수백%에 달하지만, 서울·경기 등 대도시 내륙지방은 이에 비해 턱없이 낮은 실정이다. 반면 연료전지 등 마이크로 그리드를 중심으로 한 MES가 확산할 경우, 지역 에너지 자립률 제고는 물론 지역 계통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3. MES 숙제

충전기 분야에선 최근 보급이 늘고 있는 350㎾ 초급속 충전기가 문제다. 현재 국가 표준인 KS기준은 200㎾에 대한 기준만 제정한 상태로, 350㎾의 경우 아직 기준이 없다. 박미주유소를 제외하면 국내에선 300㎾대 초급속 충전기가 없는 이유다.

소방·접지 분야의 안전성 마련도 시급하다. 박미주유소는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받아 연료전지를 설치할 수 있었다. 반면 여타 주유소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연료전지 설치가 금지돼 있다. 개별 사업자나 산업부가 사업 확대 의지를 갖고 있더라도 소방청의 협조가 없다면 실질적인 사업 영위가 불가능한 구조다. 여기에 기존 주유 시설과 전기 충전시설을 한 데 묶는 접지(회로를 지면 등에 도체로 연결해 이상전압을 방지하는 설비)의 어려움도 아직은 연구 과제다.

전기사업법도 MES의 사업성을 가로막는 장벽이다. 현행법은 주유소에서 생산한 전기는 전력거래시장을 통하지 않고는 판매가 어려운 구조다. 아무리 전력을 자체 생산하더라도 판매가 불가능해 외부 전력을 끌어와야 하는 실정이다.

막대한 투자비용 조달도 숙제다. 배전 공사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가 막대한 적자에 따라 관련 투자사업을 축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실제 배전 공사에 들어가는 자금조달 문제가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특정 지역의 부하가 필요한 사업에 대해 한전의 부정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관련 배전 사업에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라이브러리 목록

델코 지식정보 구독하기

델코가 엄선한 국내외 도시·부동산 트렌드를 이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세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