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유럽도시 지속가능성장 가기 위한 스마트 기술 활용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슈퍼블럭을 여러 곳에 실험하고 있다. 가로세로 각각 400m 블록 내에는 주민차량과 응급차량 외에는 일반 차량 오토바이 진입을 금지하고 가운데는 공원화 하는 개념이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쥐다스에 위치한 오피스 ‘디 에지’(The edge)는 컨설팅사 딜로이트 사옥으로 햇볕 최대 이용하는 유리창과 중앙 아트리움, 변기 빗물사용, 화장실 휴지 보충, 태양광 패널 전기 생산(빌딩 지붕, 외벽, 인근 대학 지붕 설치), 지하저장 물 순환을 통한 냉난방 등 전기 사용량이 비슷한 건물에 견줘 70%가량을 절약하고 있다. 건물 내 모든 것들을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2.8만개 센서 설치, 실내외 온도 조명 습도 이산화탄소 사람들 움직임 등 정보를 실시간 수집해 조명과 에너지 절감, 직원 스마트폰 앱을 통해 책상과 회의실 배정, 계속 비어있는 회의실 청소 연기, 직원들 커피 음료수 등 소모 종류별로 보충야간 감시 로봇 등을 사무실의 스마트화를 실시하고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북부 더 쇠벌(DE CEUVEL) 지역은 과거 선박을 건조하던 곳으로 중금속과 기름에 오염된 땅이었다. 지속가능 개발 사업으로 하수구나 가스관 매설 없이 건물을 지으면서, 못쓰는 보트와 물에 뜨는 집(플로팅 하우스)을 가져다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나무판넬 보행길 조성해 16개 보트하우스를 연결하고, 사무실, 워크숍 장소, 실험실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온실은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흙 오염 제거위한 식물 식재, 태양광 패널로 필요 전기 생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채소나 식물 재배에 재활용, 재사용 불능 폐기물은 최대한 오염물질 제거해 자연으로 방출, 시설운영, 제품 생산·소비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용한 자원과 폐기물 가치를 극대화하는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실험실 역할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정리한 내용은 한겨례 신문 2017년 12월 9일자 유럽 스마트도시 탐방기에서 추려 정리한 것이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2759.html
http://www.hani.co.kr/arti/economy/marketing/822758.html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22751.html#csidx76a8698be496b47b3b648ebdad55426
<어번 리빙랩스>(암스테르담 메트로폴리탄 솔루션 연구소·2017), <2050년까지 네덜란드 순환경제>(네덜란드 정부·2016)
델코지식정보
http://www.delco.co.kr/knowledge/category/%EC%9E%90%EA%B8%88%C2%B7%ED%8A%B8%EB%A0%8C%EB%93%9C
* 리테일온 사이트와의 연계로 전문 보기 서비스는 리테일온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전문보기 및 자료다운로드(PDF) : 유럽도시 지속가능성장 가기 위한 스마트 기술 활용.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