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식정보] 공유경제로 착한 도시 만들기와 Airbnb 사례

저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 여력은 감소하고, 공급을 늘려도 소비가 안받쳐준다. 결과적으로,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 자원을 다시 활용하는 데 집중하게 된다. 효율을 중시하는 자본주의의 특성이 저성장 시대에 적합하게 작동하면서, 과소비 대신 재활용이 부흥하고, 결과적으로 친환경 효과도 높아지고 있다. 공유경제 시대에서 사람들은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경제적 소득을 올린다. 이용하는 사람은 비용절약과 소비자 효용이 증대된다. 사회 전체적으로는 자원생산성을 높여 자원절약과 추가 생산에 따르는 각종 환경문제가 감소한다. 공유경제 원리는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로 활용이 가능하다.

Airbnb는 2008년 설립되면서, 주택 호스트는 유휴자산을 활용해 소득이 증가하고, 자신의 주거문제 해결, 외국인과의 교류, 상호 다른 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배우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irbnb는 관광형 도시재생에 최적화된 수단으로, 인프라 투자 없이 농촌이나 쇠퇴한 동네에 외국인이 찾도록 ‘관문’을 열어줘 경제적 활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올림픽 등 대형 이벤트가 있을 때 신규 숙박시설 짓는 부담을 크게 줄이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료: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11227131

음성원 에어비앤비 미디어정책총괄 http://www.segye.com/newsView/2017111200244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renche&logNo=220070203163

http://blog.daum.net/bjkwon/1402

델코지식정보

http://www.delco.co.kr/knowledge/category/%EC%9E%90%EA%B8%88%C2%B7%ED%8A%B8%EB%A0%8C%EB%93%9C

http://www.retailon.kr/on/bbs/board.php?bo_table=r1_02&sca=%EC%9E%90%EA%B8%88%2F%ED%8A%B8%EB%A0%8C%EB%93%9C

 

* 리테일온 사이트와의 연계로 전문 보기 서비스는 리테일온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전문보기 및 자료다운로드(PDF) : 공유경제로 착한 도시 만들기와 Airbnb 사례.pdf

라이브러리 목록

델코 지식정보 구독하기

델코가 엄선한 국내외 도시·부동산 트렌드를 이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세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