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조만간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이 현실화된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는 도심에서 운용하는 소형 항공 교통수단으로 기체, 인프라, 서비스, 유지보수 등 관련 산업 등을 포함한다. 플라잉카, 에어택시, 드론택시라고도 불린다. 대부분 글로벌 기업이 개발 중인 UAM 기체는 배터리를 이용(eVTOL)하며, 이륙 후 추진 방식에 따라 세 가지 방식이 있다. 틸트로터형은 회전익을 수직 방향으로 수직 이륙한다. 중·장거리 비행에 적합하고 에어버스의 바하나가 그 사례다. 복합형은 수직과 수평 방향의 고정익과 회전익이 있으며, 중거리 비행에 적합하고, 사례로 보잉의 오로라가 있다. 멀티콥터형은 고정익 날개 없이 회전익(로터)으로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한다. 도심 내 단거리 이동에 적합하며, 볼로콥터의 볼로콥터, 중국 이항의 이항 184, 에어버스의 시티에어버스 등이 있다. 2024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파리올림픽에선 독일 볼로콥터가 전기 에어택시를 선보인다.
JP모건은 UAM의 잠재적 시장규모를 2040년 약 1.5조 달러를 전망한다. 전 세계 이용수요도 UAM 서비스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확장된다. 2050년쯤에는 4.5억 명이 이용할 전망이다. UAM 시장 선점을 놓고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를 포함한 완성차 업체, 스타트업 등 약 300개 업체가 경쟁하고 있다. 주요 회사를 보면, 미국의 벨, 조바이, 위스크, EU의 에어버스, 독일의 벨로콥터와 릴리움, 중국 이항, 한국 SK, 한화, 현대차 등이 있다.
.
.
중략
[e대한경제] 조만간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이 현실화된다 최민성 < 델코리얼티그룹 대표 >
본 기사는 2022년 7월 4일 '주간한국'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Comments